목록✏️ 2022. TIL/October (데브코스) (10)
Daehyunii's Dev-blog

오늘부터는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기본 역량 강화와 관련된 본격적인 주제가 시작되었고 더 디테일한 주제가 시작되기 전에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선언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 강의였다.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오늘은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이란? 위키피디아의 정의를 따라보면, 컴퓨터 과학에서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선언형 프로그래밍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프로그래밍의 상태와 상태를 변경시키는 구문의 관점에서 연산을 설명하는 프로그램 패러다임의 일종이다. 자연 언어에서의 명령법이 어떤 동작을 할 것인지를 명령으로 표현하듯이, 명령형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수행할 명령들을 순서대로 써 놓은 것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A%85%EB%A0%B9%ED%..

바닐라 자바스크립 기본역량 강화 강의 시작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의가 끝나고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기초 역량 강화관련 강의가 시작되었다. 자바스크립트 기초강의는 자바스크립트 자체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과 자료구조 &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이 굉장히 많았다면 이번 강의에서는 실질적인 자바스크립트 언어로 코드를 구현할 때의 이론들을 자세하게 배우는 강의인것 같다. 강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자바스크립트 문법과 관련된 문제들을 쪽지시험(?) 느낌으로 풀어보는 시간이 있었다.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서 나름대로 잘 알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코드를 보고 개념을 대입하려고 하니 쉽지는 않았던것 같다. 문제에 대해서 요약해 보자면, var, let, const 키워드에 대한 개념 이해 정도 this 키워드에 대한 개념 이해 정..

1주차가 지나가고 2주차가 시작되었다. 오늘은 특별하게 새로운 내용에 대해서 공부한것은 없었으나, 1주차 과제를 완성하기 위한 많은 시간을 보냈다. 과제는 총 두가지 였다. 1. 트리 자료구조를 검색하여 전위 순회, 중위 순회, 후위 순회를 직접 구현하라 2. 트라이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자동완성 기능을 구현하라 우선 트리 자료구조의 경우에는 기존에 이진 검색 트리를 통한 DFS,BFS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 전에 정리해 놓았던 내용들을 참고하여 직접 코드를 다시 구현해 보았고, 트라이 자료구조는 이번에 처음 알게된 자료구조 였기 때문에 어떤 자료구조인지 강의와 검색을 통해 직접 알아보고 시작을 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은 따로 과제 카테고리를 만들어서 정리를 해 놓았다. 2022.10...

오늘은 전체적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강의 내용이었다. 다시 듣는 내용도 있었고, 들어 보지 못했던 새로운 내용도 존재했다. 기존에 들었던 내용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잊어버렸는데 다시 한 번 들어보니 처음 들었을때 보다는 조금은 더 익숙해진 느낌이다. 우선 트리, 이진 트리, 이진 탐색 트리, 힙, 트라이, 정렬, 탐색등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 그런데 참..이게.. 들을때는 이해했는데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린다는게,,, 문제다,,, 자연스럽게 익숙해 질 수 있게 계속 보는게 답인 것 같다...기존에 보다 자세하게 정리한 부분들이 있지만 오늘 배운 내용을 기준으로 간략하게 다시 정리해 보려 한다. 트리란? 트리는 말그대로 나뭇가지가 뻗어나가는 것을 형태를 갖기 때문에 트리라고 부르는데 방향 그..

오늘 강의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관련 강의였다. 그 중에서도 스택과 연결 리스트를 중점적으로 공부했다. 기존에 그래도 한 번 공부했던 내용이여서 그런지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큰 어려움은 없었다. 다만 연결 리스트를 구현하기 위해서 클래스를 생성하고 코드를 구현하는 것이 조금은 낯설게 느껴지긴 했다. 그리고 또 스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조금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단순히 push(), pop() 만을 활용하려는 틀에 박힌 사고를 하고 있다는 반성도 하게 되었다. 앞서 스택과 관련해서 내용을 정리한 부분들이 있지만, 다시 한 번 정리해 보려 한다. 스택이란? stack?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순서는 후입선출(LIFO : Last In Fi..

오늘 강의는 네트워크 지식과 관련된 내용이 많이 있었다. 각각의 개념들에 대해서 한 번은 들어 보어 보았으나 깊게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오늘 하루만에 끝낼 수 있는 양이 아니라고 생각되어 강의를 통해 전반적인 내용은 습득하고 http와 https에 대한 차이를 좀 더 깊게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HTTP 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즉 통신 규약이다. HTTP는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비밀번호와 같은 보안이 필요한 내용을 주고 받으면 제3자에 의해서 조회가 가능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HTTPS 이다. HTTPS 란? Hyp..

데브코스 과정이 시작되었다!!! 지난주 금요일에 ot를 통해서 전반적인 설명(?)을 들었고, 오늘부터 공부가 시작되었다. 우선 데브코스 과정에서 제공되는 DAY1 강의를 수강했다. 전반적으로 자바스크립트가 어떻게 탄생하게 된 것인지, 그리고 프론트엔드 개발은 무엇인지, 그리고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문법들에 대한 내용이 오늘의 강의 주제였다. 기본적으로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라는 책을 통해서 자바스크립트의 역사, 동작 원리, 기본 문법에 대해서 정독을 한 상태여서 그런지 기초적인 내용들에 대해서는 듣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 다만, 나의 머리..가 문제인지,, 책이 두꺼워서 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생각보다 까먹은 내용들이 많았고 다시 강의를 통해서 기억이 되살아난 내용들도 많았다. 메모리..

오늘은 합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문제와 github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우선 충돌 문제는 합병을 하는 과정에서 한 번쯤 생각해 보았던 문였다. '여러 가지로 뻗어나가는데 같은 위치의 내용을 변경하고 합병하면 어떤 내용이 먼저 적용되는거지?' 에 대해서 생각을 했었는데 역시나 ..ㅎ 이미 해결방법이 있었다. 근데 그 해결방법이 의외로 너무 간단해서 조금은 놀랐다. 특히 나는 vscode를 사용하고 있는데 정말 친절하게 충돌되는 내용들을 보여주고 어떤 내용을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선택버튼을 자동으로 생성해서 제공해주고 있었다.. 이것을 알기 전에는 또 새로운 명령어를 외워야 겠구나,, 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편리하게 기능을 제공해 주고 있었다니..!! 이것..